리터럴(literal)은 원시자료(primitive type)형, 문자열(String)형, 널(null)형을 소스 코드 내에서 표현하는 방법이다.
정수형
정수는 10진수, 16진수, 8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.
16진수로 표현하려면 0x로 시작한다.
8진수로 표현하려면 0으로 시작한다.
마지막에 L 또는 l을 붙이면 long형이다. 1과 혼동되지 않도록 가급적이면 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L을 붙이지 않으면 int형이다.
예
0 2 0372 0xDadaCafe 1996 0x00FF00FF
0l 0777L 0x100000000L 2147483648L 0xC0B0L
부동소수형
부동소수값은 IEEE 754에 따라 저장된다.
마지막에 F 또는 f를 붙이면 float형이다.
F을 붙이지 않거나, D를 붙이면 double형이다.
예
1e1f 2.f .3f 0f 3.14f 6.022137e+23f
1e1 2. .3 0.0 3.14 1e-9d 1e137
불린형
참과 거짓 두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.
예
true false
문자형
문자는 UTF-16으로 표현되는 단 하나의 문자이며, 작은 따옴표(' ')로 묶어서 표현한다.
예
'a' '%' '\t' '\\' '\'' '\u03a9' '\uFFFF' '\177' '' ''
문자열형
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로 이루어지며, 큰 따옴표(" ")로 묶어서 표현한다.
예
""// the empty string"\""// a string containing " alone"This is a string"// a string co…